반응형
유모차 유아차 의미
유모차는 성차별적인 표현이므로 유아차로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박원순 서울 시장 시절의 2018년 6월 서울시 캠페인에서 제기되었다. 이유는 ‘유모차’라는 단어에 ‘아빠(부)’는 없고, ‘엄마(모)’만 있어 평등 육아의 의미가 담겨 있지 않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런 주장이 나온지 얼마 뒤 '유아차'가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등재되었다. 다른 대체어로 ‘아기차’가 있으며, 이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어로 등재되어있다. 원래 국어사전에는 실제 민중에 널리 쓰이고 나서야 등재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특이한 사례다.
유모차는 유모 역할을 하는 차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출처:일본어 사전). 유모차라는 단어에 있는 母라는 한자가 엄마가 이용하는 차를 의미하지 않으니 성차별적 표현이 아니라는 의견과, '유모'는 다른 이의 아기를 모유를 먹이고 키우는 '여자'라는 뜻이기 때문에 성차별적 표현이라는 의견이 있다.
국립국어원 문의 결과
뉴스라든지 기타 일상생활에서 보면 유모차와 유아차 단어가 혼용되고 있는데
현재 두 단어 중에 표준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유모차'와 '유아차'가 모두 표준어로 등재되어 있으므로, 두 표현 모두 표준어로 볼 수는 있겠습니다. 다만 '유모차'를 '유아차'나 '아기차'로 순화한 이력이 있다는 점에서, 되도록 '유아차'나 '아기차'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권장되기는 합니다.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유모차'라고 한 것을 굳이 '유아차'로 바꿀 필요는 없음
언어별 명칭
한국어
|
유모차
|
한자어
|
乳母車
|
독일어
|
Kinderwagen
|
러시아어
|
Детская коляска
|
스페인어
|
Coche de niño, cochecito, carriola (멕시코)
|
영어
|
stroller/baby carriage (미국), pram/carrycot/pushchair/buggy (영국)
|
일본어
|
ベビーカー, 乳母車(うばぐるま)
|
중국어
|
嬰兒車
|
국내 기혼 여성·육아 커뮤니티에서는 줄임말로 '윰차'라고도 부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