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 외시경실
본문 바로가기
💉 간호사/전공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by 두용이 2023. 3. 15.
반응형

01 근거기반간호와 간호과정의 개요

 

1. 근거기반간호

 

1) 근거기반간호의 개념 및 필요성

 

환자간호 시 환자의 선호도와 가치를 고려하여 간호사가 가지고 있는 경험과 체계적인 연구로부터 획득된 최상의 근거를 가지고 활용 가능한 자원을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내리고 적용하는 것이다.

 

간호의 질을 높이고 적합한 기준을 제시해주고 의료비 절감효과를 내어

 

3가지 핵심 요소

 

임상 전문성 - 환자의 곁에서 수년간에 걸쳐 개발되며, 과학적 근거는 환자에게 일반화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과학적 근거

 

환자의 선호도 - 문화, 인종, 건강과 안녕에 대한 생각, 이외에도 환자 개인의 존재를 결정하는 고유의 여러 가지 특성을 포함

 

4) 근거기반간호 단계

 

(1) 1단계 : 임상질문(clinical question)

 

PICO 형식 (P=parient population or problem, I=intervention or area of interest, C=comparison intervention or comparison group, O=outcome)

 

(2) 2단계 : 근거의 검색(Finding relavant evidence)

 

데이터베이스 선택

 

주제어를 결정

 

(3) 3단계 : 비평적 분석(Critical appraisal)

 

연구 결과가 타당한 지(진실성), 결과는 무엇인지(유의미성 또는 신뢰성), 내 환자와 관련이 있는 것인지(적합성)

 

(4) 4단계 : 실무적용(Applying the evidence)

 

(5) 5단계 : 평가(Evalution)

 

전반적인 평가를 하는 단계

 

2. 근거기반간호와 간호과정

 

간호과정은 간호사가 대상자를 돌보고 대상자에게 간호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때 기본적인 틀을 제공해주는 문제해결과정으로, 간호실무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간호사의 책임과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간호업무에서 간호사의 독자적인 영역을 명확히 해준다.

 

3. 간호과정(Nursing process)

 

간호의 독자성을 표현하는 것

 

1) 간호과정의 정의 및 목적

 

간호과정은 문제해결을 위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며 체계적인 접근방법으로, 모든 간호행위의 중심이며 실재적이거나 위험한 건강문제에 대한 개인 또는 집단의 독특한 반응을 확인하고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별적인 간호를 제공하는 것이다.

 

간호과정은 대상자가 최적의 건강상태(최상 X)를 유지하도록 대상자에게 계획된 간호를 수행하는 일련의 행동이며, 대상자와 가족에게 간호를 계획하고 이를 제공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문제 해결방법이다.

 

- 간호사로서 사고하는 방법이다.

- 문제 중심적인 접근방법이다.

- 반복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역동적이며 주기적이다.

 

간호과정 사용

 

- 기초자료를 수집

- 실재적, 위험한 건강문제의 파악

- 개별화된 간호를 촉진

- 제공할 간호의 우선순위 결정

 

2) 간호과정의 특성

 

(1) 간호과정은 체계적이다.

 

(2) "(=간호과정은) 역동적이고 순환적이다.

 

(3) " 융통성이 있다.

 

간호과정은 개인, 가족, 지역사회에 모두 적용

 

(4) " 적용이 가능한 과정이다.

 

(5) "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6) " 대상자 중심이다.

 

(7) " 목표 지향적이다.

 

(8) " 문제 중심이다.

 

(9) " 행위 중심이다.

 

3) 간호대상자

 

(1) 개인

 

인간은 5가지 측면의 하위체제 즉,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그리고 발달적 요소를 가진 존재로 이러한 하위체계의 종합

 

(2) 가족

 

가족의 구조와 기능 및 역할을 알아야 한다.

 

가족구성원 간의 관계양상과 조직까지 포함한다.

 

발달과업 - 연애, 결혼, 확장, 안정, 축소, 소멸

 

(3) 지역사회

 

인간의 기능적 집단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특성은 연령구조, 인구분포, 남녀 성의 비율, 가족형태, 출생률

 

(보건학적 특성 - 고위험집단, 질병 이환상태)

 

4) 간호과정의 발전배경

 

2000NANDA(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의 간호진단 분류 체계 II가 개발

 

5) 간호과정의 단계

 

간호과정의 단계

과학적 방법 4단계 간호과정 5단계 간호과정
관찰로부터 현상을 파악 사정 사정(Assessment)
가설 설정 진단(Diagnosis)
연구계획 계획 계획(Planning)
자료 수집 수행 수행(Implementation)
결론 도출 평가 평가(Evalution)

 

 

 

(1) 간호사정

 

간호과정의 첫 번째 단계로, 대상자의 현재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하며 분석 및 기록하는 과정

 

간호력 작성, 신체검진

 

 

 

(2) 간호진단

 

간호사정을 통해서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대상자의 건강요구 문제, 관심사, 인간반응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간호진단분류체계를 사용해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진술하는 것이다.

 

(3) 간호계획

 

확인된 문제를 예방

 

간호중재를 확인

 

우선순위 결정, 간호목표 설정

 

(4) 간호수행

 

대상자의 목표 달성을 돕기 위해 간호계획을 행동화하는 것이다.

 

(5) 간호평가

 

원인을 분석하며 재사정하거나 계획을 수정한다.

 

6) 간호과정과 관련되는 이론

 

(1) Maslow의 인간욕구이론

 

생존적 경향

 

생리적 욕구

안전과 안정 욕구

사랑과 소속의 욕구

 

실현적 경향

 

자아존중감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2) Ludwig Von Bertalanffy의 일반체계이론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