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보건학 개론] 1 공중 보건의 이해 summary :: 외시경실
본문 바로가기
🩹 간호조무사/이론

[공중보건학 개론] 1 공중 보건의 이해 summary

by 두용이 2021. 5. 1.
반응형

1 공중 보건의 이해

 

01 공중 보건의 개념

02 공중 보건학의 분야 · 발전 · 과제

 

01 공중 보건의 개념

공중 보건의 의의

 

· 보건의 정의 : 개인 및 가족의 건강을 유지 · 증진시키고, 건강 생활을 확립하기 위해 개인의 자율적인 노력을 이끌어 주면서 타율적으로 지원하는 것

 

· 공중 보건(public health)의 정의

- 공중의 보건, 즉 전 국민의 보건을 향상시키는 것

- 세계보건기구(WHO)의 공중보건 정의 :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 증진시킴으로써 육체적 · 정신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잇게 하기 위한 지식을 사회의 조직적 노력으로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기술

 

· 공중 보건학의 정의

- 윈슬로(C.E.A. Winslow)의 정의 : 조직적인 지역사회의 노력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며, 신체적 · 정신적 효율을 증진시키는 기술이며 과학이다 

-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경위생 관리, 감염병 관리, 개인위생에 관한 보건교육, 질병의 조기 발견과 예방적 치료를 할 수 있는 의료 및 간호 서비스의 조직화, 모든 사람들이 자기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적합한 생활 수준을 보장받도록 사회제도를 발전시킴

 

· 공중 보건의 특성 : 효율성, 지속성, 포괄성, 접근성, 공공 재화, 공공성

 

· 공중 보건학의 특성

- 지역사회의 주민을 대상

- 질병 예방에 중점

- 건강 상태의 진단은 지역사회의 보통 사망률, 질병 이환률, 의료 이용률 등 보건 통계자료를 이용

- 보건교육, 감염병 관리, 환경위생, 영양 관리 등의 보건환경 관리와 서비스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보건문제를 해결

공중 보건의 목적 및 기능

 

· 공중 보건의 목적 

- 질병 예방, 수명 연장, 신체적 · 정신적 건강 및 효율의 증진

- 목적 달성을 위한 접근 방법 : 조직화된 지역사회의 노력

- 지역사회 : 일정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로서 공동 의식을 갖고 상호 관련성이 있는 사람들의 집단

 

· 공중 보건의 기능 : 공중 보건의 중심적 목적인 인구의 건강 향상을 성취하기 위하여 수행되어야 할 행동

 

02 공중 보건학의 분야 · 발전 · 과제

 

공중 보건학의 분야

 

· 환경보건 분야 : 환경위생, 식품위생, 환경보전과 환경오염, 산업 보건 등

 

· 질병관리 분야 : 역학, 감염병 관리, 기생충 질병관리, 만성 질병관리 등

 

· 보건관리 분야 : 인구 보건, 가족 보건, 모자 보건, 보건행정, 보건영양, 학교 보건, 보건교육, 보건통계 등

 

· 사회보장 분야 : 국민건강보험, 의료급여, 산업재해보상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국민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노인복지서비스 등

 

공중 보건학의 발전

 

· 배경 :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하는 과정에서 도시화와 인구 집중에 따른 비위생적인 생활로 감염병이 발생하였고, 이를 억제하기 위한 인식에서 공중 보건학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춤

 

공중 보건의 과제

 

· 주요 과제 

- 보건 · 의료행정 조직을 다원화하고 무의촌 해소나 장애의 원인인 공해나 직업병 문제

- AIDS나 유행성 간염과 같은 특수 질병 예방 문제

- 대기, 수질, 토양, 해양오염 등 환경보건 대책

- 보건의료의 과학적 관리기법 도입

- 악성 신생물 · 뇌졸증 · 당뇨병 · 고혈압 등 성인병의 예방과 관리

- 응급의료 체계의 확립

 

· 포괄적 보건의료 : 건강 증진 활동, 질병의 예방, 치료, 재활 서비스를 전부 포함하는 보건의료, 현대적 개념의 건강관리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