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iGwrI/btrbqvo3uIo/PxstvBco9o7nA1uWHCQb81/img.jpg)
분류
미생물 - 세균성 - 감염형 식중독
정의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non-typhoidal Salmonella)의 감염에 의한 급성위장관염
질병분류
법정감염병 : 지정감염병
질병코드 : ICD-10 A02
병원체
non-typhoidal Salmonella
- S. Enteritidis, S. Typhimurium, S. Newport, S. Javiana, S. Heidelberg 등
- 살모넬라균속은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막대균 (보통 102 ∼ 103 이상 개체수에서 감염)
![](https://blog.kakaocdn.net/dn/voQUQ/btrbpOPTMew/S0DGT1D1NSV5GjkjWhYEm1/img.jpg)
병원소
가금류, 돼지, 두더지, 소, 와 같은 가축과 야생동물, 이구아나, 거북이, 개, 고양이, 햄스터 등 애완동물이 주 병원소
사람은 보균자, 환자 등이 병원소가 될 수 있음
전파경로
○ 오염된 물(지하수 및 음용수 등)이나 음식을 통해 전파
○ 살모넬라균에 감염된 동물이나 감염된 동물 주변 환경에 접촉하여 감염
잠복기
6∼72시간(대부분 12∼36시간)
증상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위장증상
수일에서 일주일까지 지속
치료
대증 치료 : 경구 또는 정맥으로 수분, 전해질 신속히 보충
항생제 치료 : 중증, 노약자, 어린이, 면역 저하자에서 권유
치사율
대부분 회복, 사망은 드묾
관리
환자관리 : 증상이 있는 환자는 보육시설・요양시설 종사자, 조리종사자, 간호, 간병, 의료 종사자에서 업무 제한
접촉자격리 : 발병여부 관찰(3일)
예방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 씻기의 생활화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 씻기(특히, 동물 ・ 애완동물을 접촉 후 등)
- 안전한 음식 섭취 : 음식 익혀먹기, 물 끓여 마시기
- 위생적인 조리하기
+ 살모넬라균은 열에 취약하여 저온 살균(62∼65℃에서 30분 가열)으로 사멸
+ 살모넬라균은 저온, 냉동 및 건조 상태에서 사멸되지 않음
![](https://blog.kakaocdn.net/dn/zTopr/btrbvb4ad93/Lo7nBsBGTeVgNmoSiNiVuk/img.jpg)
진단 신고 기준
신고범위 : 환자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살모넬라균 감염증에 합당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임상증상
- 발열, 두통,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이 수일에서 일주일까지 지속되기도 함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대변, 직장도말물)에서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 분리동정
신고시기 : 7일 이내 신고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감염병관리과, 세균분석과(진단)
FAQ
Q1.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린 환자는 격리시켜야 하나요?
- 살모넬라균은 환자의 대변 속에 있으므로 어린아이나 장애인처럼 화장실에 가는 것을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심한 설사 환자인 경우에는 격리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화장실에 다녀온 후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을 잘 지키면 전파위험이 없으므로 격리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Q2. 살모넬라균에 감염되면 증상은 얼마나 있다가 나타나나요?
- 일반적으로 감염 후 1-3일 후면 두통, 복통, 설사, 구역, 발열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Q3.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린 사람은 얼마나 오랫동안 남에게 전염시킬 수 있나요?
- 전염기간은 수일에서 여러 달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 경구용 항생제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이나 유아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오랜 기간동안 균을 전염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Q4. 누가 주로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리나요?
- 누구나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아나 어린이가 더 잘 걸릴 수 있습니다.
Q5.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리면 어떻게 치료하나요?
- 살모넬라 식중독인 사람들은 대부분 저절로 회복되지만, 탈수를 막기 위해서 수액을 줄 수 있습니다.
- 항생제나 지혈제는 일반적으로 추천되지 않습니다.
Q6. 살모넬라 식중독에 걸리지 않으려면 어떤 점을 평소에 조심해야 하나요?
- 모든 동물성 식품류는 철저히 요리한다.
- 요리 후에 부엌 안에서 재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한다.
- 날음식을 먹지 않는다.
- 조리 이전과 이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고, 부패가능한 음식물은 반드시 냉장보관하며, 부엌을 청결히 하여 쥐나 곤충으로부터 음식을 보호한다.
- 가축과 애완동물의 살모넬라 감염을 검사하고 관리하며 예방조치를 취한다. 병아리, **오리, 거북이 등 애완동물은 특히 어린 아동들에게 위험하다.
- 동물을 위한 먹이도 오염되지 않도록 배려한다.
Q7. 살모넬라 식중독은 한번 걸리고 나서 또 걸릴 수 있나요?
- 아니오. 한번 감염을 경과하고 나면 고도의 면역이 성립되어 재감염을 받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yxhcv/btrbh3Uxj2f/cM2DMDgN7fs5ZK5h5JGd8k/img.jpg)
5년 누적 월별 발생건수와 환자수
![](https://blog.kakaocdn.net/dn/bUoB25/btrb5oBEGGV/QeSotDlg9I0hUgR4Os9hUK/img.png)
9월이 압도적으로 높다.
요약
![](https://blog.kakaocdn.net/dn/KvhXH/btrb2aw9z4V/ynfKFZXdurqNTK9bPEfve0/img.png)
* 출처
질병관리청 KDCA l 감염병포털 '살모넬라균 감염증'
네이버 지식백과 '식중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