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근육계통 얼굴 목 근육각론
II. 근육계통 각론
1. 머리근육
- 머리근육(muscle of head)은 얼굴근육(facial muscle), 바깥눈근육(외안근, extraocular muscle), 씹기근육(저작근, masticatory muscle), 혀근육(muscle of tongue)으로 나눈다.
- 머리근육들은 뇌신경(cranial nerve: CN I~XII)이라는 말초신경계통(peripheral nerve system)의 지배받는다.
1) 얼굴근육
- 얼굴 피부의 얕은근막(천근막, superficial fascia)과 머리뼈(skull)에 붙어 있어 근육이 수축하면 피부를 당기게 되어 표정을 지을 수 있다.
- 뒤통수이마근(후두전두근, occipitofrontalis m.): 머리덮개(두피, scalp)를 덮고 있는 가장 넓은 근육.
- 눈둘레근(안륜근, orbicularis oculi m.): 눈확(orbital) 을 둘러싸는 근육으로 눈을 감게 해주고 눈썹주름근(추미근, corrugator supercilii m.)은 눈썹을 모이게 한다.
- 코근(nasalis m.)은 콧구멍 가쪽 모서리를 들어 올려 코를 벌름거리게 해준다.
-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m.): 입주변을 둘러싸고있는근육으로수축하면입을다물고내밀게한다.
- 아랫입술내림근(하순하제근, depressor labii inferioris m.)과 입꼬리내림근(구각하제근, depressor anguli oris m.) : 언짢은표정인입꼬리를아래로내릴때사용하고윗입술올림근(상순거근, levator labii superioris m.), 입꼬리올림 근(구각상제근, levator anguli oris m.), 큰광대근(대관골근, zygomaticus major m.)과 작은광대근(소관골근, zygomaticus minor m.)은 웃을 때 사용된다.
- 볼근(buccinator m.): 볼지방체(buccal fat pat)에 덮여 있으므로 음식을 씹을 때 볼을 치아 쪽으로 접근시킨다. 음 식물을 입안에 유지하고 음료를 빨대로 빨 때 수축하게 된다.
이런 근육들은 얼굴신경(facial nerve: CN VII)의 지배를 받는다.
2) 바깥눈근육
- 바깥눈근육(외안근, extraocular muscle): 안구를움직이는근육.
- 눈확(안과, orbital)에서 시작해서 안구의 하얀 바깥막인 공막(sclera)에 닿으므로 바깥눈 근육이라 하고, 4개의 곧은근(직근, rectus m.)과 2개의 빗근(사근, oblique m.)으로 구성.
- 안쪽곧은근(내직근, medial rectus m.), 가쪽곧은근(외직근, lateal rectus m.), 아래곧은근(하직근, inferior rectus m.), 위곧은근(상직근, superior rectus m.)은 안구의 상하좌우의 움직임을 할 수 있게 한다.
- 아래빗근(하사근, inferior oblique m.)과 위빗근(상사근, superior oblique m.)은 눈확(orbital) 안에서 시작되고, 공막(sclera) 뒤 가쪽으로 이어져안구를위아래로, 가쪽으로 돌리는역할.
- 가쪽곧은근(lat. rec. m.): 갓돌림신경(외전신경, abducens n: CN VI)의 지배를, 위빗근(sup. obl m.)은 도르래 신경(활차신경, trochlear n: CN IV)의 신경지배를 받는다. 나머지 근육들은 눈돌림신경(동안신경, oculomotor n: CN III)의 지배를 받는다.
3) 씹기근육
- 씹기근육(저작근 masticatory muscle): 턱관절의 운동에 작용하는 4쌍의 근육들.
- 관자근(temporalis m.): 머리뼈 관자선에서 시작하여 아래턱뼈의 근육돌기(coronoid process)에 닿는 넓은 부채 모양의 근육으로 아래턱뼈를 올리고, 뒤로 당기는 역할.
- 깨물근(교근, masseter m.): 씹기에서 가장 중요하고 강력한 짧고 두꺼운 근육으로 관자근(측두근, temporalis m.) 보다 표면에 위치.
- 가쪽날개근(외측익돌근, lateral pterygoid m.)과 안쪽날 개근(내측익돌근, medial pterygoid m.): 나비뼈(접형골, sphenoid bone)의 가쪽날개판(lateral pterygoid plate of sphenoid)에서 시작해서 아래턱뼈에 닿아 턱을 좌우로 움직이는 역할을 하고 다양한 음식의 씹기에서 치아의 효율을 높여준다.
- 이 근육들은 삼차신경의 아래턱신경(하악신경, mandibular n: CN V3)의 지배를 받는다.
4) 혀근육
- 혀근육(muscle of tongue): 매우 민첩하고 유동적인 기관으로 그 자체가 내인근육(intrinsic m.)으로 혀를 말고, 쥐어 짜고, 접는 등의 동작을 하게 된다.
- 턱끝혀근(이설근, genioglossus m.)은 아래턱뼈에서 시작되어 혀를 앞으로 내밀게 한다.
- 붓혀근(경상설근, styloglossus m.)은 관자뼈 붓돌기(경상돌기, styloid process)에서 시작하여 혀를 올리고 뒤로 당긴다.
- 목뿔혀근(설골설근, hyoglossus m.)은 목뿔뼈(설골, hyoid bone)에서 시작하여 혀 가쪽에서 끝나며 혀를 아래로 내리고 뒤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 입천장혀근(구개설근, palatoglossus m.)은 물렁입천장 (연구개, soft palate)에서 시작되고, 혀 뒤쪽에서 끝나며 혀의 뒷부분을 들어 올린다.
- 혀의 외인근육(extrinsic m.) 대부분은 혀밑신경(설하신경, hypoglossal n: CN XII)의 지배를 받는다.
2. 목근육
1) 인두근육
- 인두(pharynx)는 흔히 “목구멍”이라고 하는, 깔때기 모양의 관 구조로, 코안과 입안에 걸쳐 그 뒤에 위치. 음식물을 삼키는 데 도움을 주고 인두조임근(pharyngeal
constrictors)은 위(superior), 중간(middle), 아래(inferior)의 세 종류가 있다. 음식물이 인두로 들어가면 차례로 수축하여 아래로 밀어내어 식도로 진입하게 한다. 인두근육의 대부분은 미주신경(vagus n: CN X)의 지배를 받는다.
2) 목 앞의 근육
- 목 앞쪽에 있는 근육(muscles of the ant. neck): 목뿔뼈 위의목뿔위근육(설골상, suprahyoid m.)과 아래의 목뿔아래근육(설골하, infrahyoid m.)으로 나뉜다.
- 목뿔위근육(설골상, suprahyoid m.)은 입의 바닥으로 연결되어 말을 하거나 음식을 삼킬 때 목뿔뼈(설골, hyoid bone)를 위로 들어 올려서 입안 바닥이 늘어나게 한다.
- 턱의 앞뒤 두힘살근(이복근, digastric muscle), 턱끝목뿔근(이설골근, geniohyoid muscle), 붓목뿔근(경돌설골근, stylohyoid m.), 턱목뿔근(악설골근, mylohyoid) 등이 이에 속한다.
- 목뿔아래근육(설골하근, infrahyoid m.)은 음식 삼키기가 끝나면 수축하여 목뿔뼈와 후두의 방패연골(갑상연골, thyroid cartilage)을 아래로 끌어내린다.
- 복장목뿔근, 어깨목뿔근(위아래), 방패목뿔근, 복장방패근이 이에속한다(표 5.6A, B).
3) 머리와 목을 움직이는 근육
- 머리와 목을 움직이는 근육(muscles that move the head and neck): 척주(vertebral column), 가슴우리(흉곽, thoracic cage), 팔이음뼈(상지대, pectoral girdle)에서 시작하여 머리뼈에서 끝난다.
- 앞가쪽 목근육(anterolateral muscle)은 목이나 머리를 둘 다 굽히는 작용을 하고 목빗근과 3개의 목갈비근이 있다.
-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 두껍고 밧줄같은 근육으로 동시수축하면 머리는 굽혀지고 한쪽만 수축하면머리는 가쪽굽힘(외측굴곡, lateral flexion)이 일어나 반대쪽으로 돌아간다(돌림, rotation). 목의 굽힘과 가쪽굽힘을 할 수 있게 한다.
- 뒤쪽 목근육(posterior neck muscle): 여러 근육이 같이 작용하여 목과 머리 둘다 펴는 작용(extension)을 한다.
- 등세모근(trapezius m.)이 머리뼈에서 끝나 머리와 목을 펴도록 돕는다.
댓글